추석 차례상 차리기 준비팁, 음식 구성 배치 금기사항
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음력 8월 15일에 온 가족이 모여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날입니다. 이때 차례상을 차리는 것은 추석의 중요한 의식 중 하나로, 조상님께 예를 표하고 감사의 뜻을 담아 음식을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차례상 차리기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몇 가지 원칙만 기억하면 누구나 쉽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차례상을 처음 준비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차례상의 의미와 구체적인 차림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차례상의 의미
차례상은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상차림입니다. 조상님께서 돌아가셨던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음식을 준비해 예를 표하며, 후손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차례상에는 주로 조상님이 즐기셨을 법한 음식들을 올리며, 각 음식은 고유의 의미와 상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차례상 준비하기
방향 설정
제사상에서 신위(조상의 위패나 사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봅니다.
제사 지내는 사람이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입니다.
차례상을 차리기 위해서는 음식을 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식의 배치와 순서도 중요합니다. 한식은 재료별로 상징적 의미가 있어, 이를 고려해 적절한 자리에 음식을 배치하는 것이 예절에 맞습니다.
(1) 음식의 구성
차례상에 올리는 기본적인 음식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포(육포, 어포): 육류나 어류로 만든 포는 조상님께 대접하는 중요한 음식 중 하나입니다. 생선 포와 육포를 함께 준비하고, 상의 중앙에 놓습니다.
- 적(구운 고기나 생선): 적은 구이로 만들어진 고기나 생선을 말합니다. 고기와 생선(주로 도미, 조기 등)은 좌우를 구분해서 놓으며,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두는 것이 전통입니다.
- 탕(국물 음식): 고기탕, 생선탕, 채소탕 등 다양한 탕을 준비하고, 보통 상의 오른쪽 끝에 위치시킵니다.
- 나물과 전: 다양한 색상의 나물과 전을 준비해 상차림을 풍성하게 합니다. 흰색, 녹색, 노란색, 갈색 등 고루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과일과 한과: 제철 과일과 함께 한과를 준비합니다. 과일은 크고 모양이 좋은 것으로, 홀수 개를 준비하는 것이 전통입니다.
(2) 음식의 배치
5열 진열법
제 1열 : 술잔과 메(밥),떡국(설),송편(추석)을 놓는 줄
제 2열 :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
제 3열 : 탕을 놓는 줄
제 4열 : 포와 나물을 놓는 줄
제 5열 : 과실을 놓는 줄 (한과, 약과 포함)
- 남자 조상, 여자 조상의 위치(고서비동): 남자 조상은 서쪽(왼쪽), 여자 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신위, 밥, 국, 술잔을 놓습니다.
- 밥과 국의 위치(반서갱동):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놓습니다.
- 생선, 고기의 위치(어육동서): 생선은 동쪽(오른쪽), 고기는 서쪽(왼쪽)에 놓습니다.
- 머리, 꼬리의 위치(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오른쪽), 꼬리는 서쪽(왼쪽)에 놓습니다.
- 적의 위치(적전중앙): 적은 2열의 중앙에 놓고, 전은 그 옆에 놓습니다.
- 과일의 위치(홍동백서): 붉은 과일(사과, 감)은 동쪽, 흰 과일(배, 밤)은 서쪽에 놓습니다
(3) 상차림의 금기 사항
- 전통적으로 음식은 3개, 5개, 7개 등 홀수로 준비한다.
- 복숭아는 올리지 않는다: 털이 있는 과일은 귀신을 쫓는다는 이유로 복숭아는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 '치'로 끝나는 생선은 피한다: 꽁치, 갈치, 삼치처럼 이름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 붉은색 양념 사용 금지: 고춧가루, 마늘과 같은 향이 강한 양념은 피하고, 간장 대신 소금으로 간을 맞춥니다.
3. 차례의 순서
차례상을 모두 차린 후, 차례는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강신례: 조상님을 모시는 의식으로, 술을 따르고 절을 올리며 조상님께서 오시기를 청합니다.
- 신위봉안: 조상님의 위패를 상 위에 모시는 의식입니다.
- 진찬례: 차례상을 준비한 후 조상님께 음식을 올리는 과정입니다.
- 헌작례: 술을 올리며 예를 표하는 단계로, 술을 세 번 올립니다.
- 철상례: 상을 정리하는 절차로, 음식을 내리고 상을 치웁니다.
- 사배례: 가족들이 함께 절을 올리며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4. 차례상 준비 팁
차례상을 처음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몇 가지 팁을 드립니다.
- 시간 절약: 전통 방식으로 모든 음식을 손수 만들기 어렵다면, 미리 만들어 둔 전이나 나물을 구입해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가족과 협력: 가족들과 역할을 나누어 준비하면 더 수월하게 차례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 음식 보관: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하므로, 고기와 생선 요리는 냉장고에 보관해 차례를 지내기 직전에 상에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5. 차례상의 현대적 변형
현대에는 차례상 차림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과거에는 모든 음식을 손수 준비했지만, 이제는 전통 음식들을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을 고려해 채소 위주의 상차림을 하거나, 육식을 피하는 집안에서는 두부로 만든 음식을 올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대적 변형은 전통을 지키면서도 각 가정의 상황과 취향을 반영한 방식으로, 추석을 좀 더 유연하고 즐겁게 맞이할 수 있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기는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소중한 전통입니다.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기본 원칙을 이해하면 누구나 쉽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형식보다는 진심을 담는 마음이니, 가족과 함께 조상님께 감사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추석의 의미를 새기며 준비해 보세요.